1.동기와 재미를 없앤다.
아직 자신의 적성을 드러나기도 전에 부모들이 직업을 정한다.
물론 자세나오는 직업군이다. 판검사.변호사, 의사, 회계사, 교수 등
아이들의 적성을 절대무시하고 부모들의 바램만이 절대적이다.
2.공부의 기술 연마과정을 없앤다.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스스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자신만의 공부방법에 익숙해지는 것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서 부모들은 모든 계획을 학원에 맞긴다. 초등시절의 종합반수업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더하여 수면시간과 예복습시간까지 부모가 정하고 독려한다.
이쯤되면 아이들이 미치지 않으면 오히려 고맙게 여겨야 한다.
3.강제된 노력.
매사에 노력을 중요하다.
그러나 강제된 노력만큼 부작용이 큰 것은 없다.
초중등시절에 어느 정도 했거나 아주 잘 했다고 생각되어지는 아이들이 고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무너지기 시작한다.
반대로 초중등시절에 그저그랬던 아이들 중의 일부는 고등학교시절부터 서서히 두각을 나타낸다.
이것이 바로 강제성이 주는 문제의 발현시점이다.
어린 나이에는 질책과 꾸지람이 무서워서 따르지만, 어느 정도 반항기에 힘이 실리는 고등학교 시절부터는 아이들이 달라진다.
오히려 공부에 무관심한 자세가 부모에게 가장 쉽게 반항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강제된 노력의 말로이다.
그렇다면 아이들을 천재는 아니더라도 두각을 나타내는 학습자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위의 상황과 반대로 하면된다.
공부에 동기를 부여하고, 과도한 욕심을 금한다. 새로운 학습에 흥미를 없애는 과도한 선행은 필요악이 아닌 진정한 악이다.
공부기술을 누군가가 무작위로 제공하는 무식한 행위는 아이들의 자율성을 없애는 첩경이다. 스스로 시행착오를 통해서 공부방식을 찾아가도록 기원하고 지지해주자.
강제로 시험기간에 밤을 새우게 하고, 격한 어조로 아이들을 반강제적으로 책상에 앉히는 불필요한 부모의 노력은 심리적인 트라우마를 아이들에게 심어줄 수 있다.
노력을 일상에서 보여주도록 부모가 동참하는 공부문화를 만들고 노력은 자생을 위해서 부모와 함께 시험기간 주말에 도서실학습이나 거실학습을 연출해보자. 부모의 1%의 노력이 아이를 최소한 10%변화시키고 아이들 스스로 자신감을 갖게 한다.
이제 아이들은 한송이 꽃이나 한 그루의 나무와 같다.
그 피는 시기와 성숙되는 주기는 모두 다르지만,하나 같이 소중한 존재인 것이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현명한 부모의 자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