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법상 실효의 원칙, 실효의 원칙과 대법원 판례의 태도민사판례외 2011. 12. 13. 22:53반응형
실효의 원칙이라 함은 권리자가 장기간에 걸쳐 그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함에 따라 그 의무자인 상대방에 대하여 더 이상 권리자가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할 것으로 신뢰할 만한 정당한 기대를 가지게 된 경우에 새삼스럽게 권리자가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은 법질서 전체를 지배하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되어 허용되지 아니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대법원판례)
이 윈칙의 근거는 신의칙상의 자기모순금지의 원리에서 찾을 수 있고, 신의칙의 파생원칙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판례는 사법상의 권리 뿐 아니라 공법상의 권리(행정법 영역), 근로관계법상 권리(해고무효확인), 소송법상 권리(소권, 항소권) 등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한다.'민사판례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남용금지의 기본사항들, 권리남용금지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사항 (0) 2011.12.21 해제권의 실효를 인정하는 경우의 판례, 민사상 실효의 원칙의 적용여부와 범위 (0) 2011.12.14 민법상 실효의 원칙, 실효의 원칙과 대법원 판례의 태도 (0) 2011.12.13 판례의 사정변경의 원칙 인정여부 / 민법상 사정변경의 원칙 (0) 2011.12.12 민법상 사정변경의 원칙과 대법원판례의 경향 (0) 2011.12.11 민법상의 신의칙적용 / 민법상의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0) 2011.12.09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