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판례외
2011. 11. 20. 22:29
반응형
공문서변조죄는 권한 없는 자가 공무소 또는 공무원이 이미 작성한 문서내용에 대하여 동일성을 해하지 않을 정도로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증명력을 작출케 함으로써 공공적 신용을 해할 위험성이 있을 때 성립한다.
따라서 공문서의 일부만을 복사한 행위는 공문서변조죄에 해당되지 않는다.<대판>
형법 제233조 소정의 허위진단서작성죄의 대상은 공무원이 아닌 의사가 사문서로서 진단서를 작성한 경우에 한정되고 공무원인 의사가 공무소의 명의로 허위진단서를 작성한 경우에는 허위공문서작성죄만이 성립하고 허위진단서작성죄는 별도로 성립하지 않는다.<대판>
결국, 법조경합의 특별관계에 해당한다.
반응형
'형사판례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의 화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 / 형법 제245조의 음란한 행위여부 (0) | 2011.11.22 |
---|---|
형법상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이 성립여부 (0) | 2011.11.21 |
공문서변조죄의 성립여부 / 허위공문서작성죄와 허위진단서작성죄와의 관계 (0) | 2011.11.20 |
재물손괴죄의 성립여부에 대한 검토. 권리행사방해죄의 성립여부 (0) | 2011.11.19 |
불가벌적인 사후행위에 해당하는 재산범죄로 취득한 재물의 장물성여부. (0) | 2011.11.18 |
배임죄의 성립여부, 배임죄에 대한 형사법적인 판단 (0) | 2011.11.17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