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의 자화상은 어떻게 그려질까요..뒤죽박죽세상사 2009. 11. 8. 15:27반응형자화상 그리기
봉쇄 수도원을 아세요
한번 들어가면 다시는 문 밖 세상으로 나오지 않고
세상을 위해 기도를 바치고 노동을 하다 그 안에 조용히 묻히는 곳
봉쇄 수녀원의 이름 없는 수녀님이 저에게
우린 함께 봉쇄된 벽 속의 동지가 아니냐며
수줍고 잔잔한 편지를 보내 오셨습니다
이 흐린 세상에 그래도 한 줄기 맑은 향기가 그치지 않는 건
이름도 없이 소리도 없이 자신을 낮고 작은 곳에 가두어놓고
일생을 가슴 치며 온 몸으로 기도 바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지요
수녀님께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박 시인의 모습이라며
몽당 크레용으로 그림을 그려 보냈는데
히히 이게 나라구?
웬 이쁜 외계인? 입체파 추상파? 지 맘대로 꼴라쥬?
혼자서 깔깔거리다 문득 다시 들여다보니
귀가 이렇게 유난히 큰 것은
말 잘하는 것보다 잘 듣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너무 작아 소리 없는 말에도 나직이 귀기울이라고
눈이 이렇게 푸른 것은 멀리 내다보는 눈을 가지라고
새로 걸어오는 것들은 잘 보이지 않으니
미래를 바라보는 눈 푸른 사람이어야 한다고
가슴에 불을 그려넣은 것은
침묵의 불덩어리를 품고 가라고
온갖 비판과 치욕을 다 받아 녹이며 가라고
발이 이렇게 큰 것은 발은 정신의 발이니.
발로 걸어다닌 만큼 사유의 공간은 커지는 것이니
온 지구를 누비며 배우고 깨치는 순례자의 발이 되라고
지금 내 자화상을 그려본다면
못생긴 큰 입에 작은 귀, 냉정한 가슴, 좁은 발일 텐데
힘있고 잘 나가는 것만 눈에 들어오는 검붉은 눈일 텐데
부끄럽습니다 수녀님
벽 속에서 살다 그 안에 말없이 묻혀갈 당신을 생각하며
보내주신 그림 따라 살아가겠습니다
언젠가는 저도 예뻐진 자화상을 그려 보내겠습니다
박노해 시인의 <오늘은 다르게> 중
------------------------------------------------------------
인간은 기억과 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신의 선물이지요..
좋은 기억을 되새기면서 착하고 선한일은 반복하라고 주신
것입니다.
이성은 잘못된 행동이나 처음하는 행동은 잘 헤아려보고 하라고 주신것입니다.
이런 귀한 선물을 받은 유일한 생명인 인간은 어째서인지,
선은 알면서도 애써 외면하고
악은 모르는 척,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하니까 하는 식으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뒤죽박죽세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에서 행복은 중요하지만,많은 행복들은 일시적인 소모품이다. (0) 2009.11.09 인생과 그리움 (0) 2009.11.08 힘이 되고 버팀이 되는 지혜의 씨앗을 뿌리고 가꾸어라. (0) 2009.11.07 알지만 애써 외면해온 사실들.. (0) 2009.11.07 당신은 요즈음 행복하십니까?? (0) 2009.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