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죄의 성립여부, 형법상 사기죄의 성립여부형사판례외 2011. 11. 3. 21:51반응형
공사대금채권과 대여금채권을 합산하여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실제로 임차인이 임대차목적물에 거주하면서 주민등록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은 경우, 임차인이 이제 기하여 경매법원으로부터 배당을 받은 행위를 사기죄로 의율할 수 없다.(대판)
------------------------------------------------------------------------------
사채업자가 대출희망자로부터 대출을 의뢰받은 다음 대출희망자가 자동차의 실제 구입자가 아니어서 자동차할부금융의 대상이 되지 아니함에도 그가 실제로 자동차를 할부로 구입하는 것처럼 그 명의의 대출신청서 등 관련 서류를 작성한 후 이를 할부금융회사에 제출하여 자동차할부금융 대출을 받은 경우, 사채업자로서는 신의성실의 원칙상 사전에 할부금융회사에게 자동차를 구입하여 보유할 의사없이 자동차할부금융대출의 방법으로 자금을 융통하려는 사정을 고지할 의무가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고지하지 아니한 채 대출의뢰인들 명의로 자동차할부금융을 신청하여 그 대출금을 지급하도록 한 행위는 고지할 사실을 묵비함으로써 거래상대방인 할부금융회사를 기망한 것이 되어 사기죄를 구성한다.(대판)'형사판례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법상의 불법원인급여와 사기죄의 성립여부/법원에 대한 기망행위와 사기죄의 기수시기 (0) 2011.11.07 사기죄의 성립여부, 형법상의 사기죄의 사취의 의도와 편취의 의도. (0) 2011.11.06 사기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사기죄의 기망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례상의 사기죄 성립여부 (0) 2011.11.02 강도살인죄의 성립여부 / 사기죄의 성립여부 등에 관한 판례의 견해 (0) 2011.11.01 죄짓지말고 삽시다. 형법상의 특수절도의 의미와 가능성 여부에 대한 판례사안 (0) 201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