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거공간은 삶의 진정성이 있는 공간연출이다. 주거건축인테리어디자인은 삶의 멋진 연출이다. 주거공간은 가족문화의 산실이고 가족의 미래를 키워나가는 공간적인 학습장이다,
주거건축물은 이제 우리의 일상에서 마주하게 되는 생활의 공간이다. 주거문화는 단순히 거주목적인 아니라 다양한 가족문화의 본원이고 가족은 삶의 행복과 불행의 척도이다.
규모로 삶의 질과 생활의 행복감을 판단하던 저급한시대는 지나갔다. 실속과 편리함 그리고 따스함이 배어있는 공간디자인이 우리에게는 시급하고 일상화되어가고 있다. 작은 짜투리 땅과 공간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삶을 추구하는 것은 이제 일상적이 삶이 목표가 되어가고 있다.
인테리어건축디자인은 삶의 중심이다. 건축인테리어은 삶의 중심이다. 주거공간의 친환경적인 공간연출은 이제 일상적인 주거문화의 시작이고 종착역이다.
건축물과 건축디자인의 세계는 그 가능성과 효과성면에서 가치를 잇고 있다. 행복은 눈의 즐거움도 더해주는 것이다. 주거공간을 이렇게 멋지게 연출해 보는 시도는 생각만으로 삶의 행복감을 더해준다.
주거공간과 일반 건축물의 차이점은 그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여부다. 상업공간의 경우 고객이나 방문객에 대한 이미지가 주된 기능을 발휘하는 방면에 주거공간의 경우 그 주인공이 가족의 의사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연출이다. 일반화 보다는 차별화 된 개성으로 획일화 된 현대적인 생활을 해보는 것도 삶의 지혜일 것이다.
주거의 안정은 삶의 질을 높여준다. 주거의 실질적인 분위기가 삶의 질을 좌우한다. 고급의 큰 저택에 집착하기 보다는 작고 개성넘치는 주거공간이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관심을 갖는 것도 삶의 질을 높이는 길이다.
한때 인간의 자연의 지배자라는 착각속에서 살고 있었다. 그 이후 인간은 자연을 돌보는 도우미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허황된 생각을 했다. 지금의 현명한 인간은 자연의 일부임을 스스로 인정하고 공생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건축디자인과 주거공간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