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일명 '스카이(SKY)' 대학으로 불리는 한국 최고의 명품 대학이 불합리하다며 공개적으로 자퇴를 선언하는 학생들이 이슈가 되고 있다. 지난해 3월 고려대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씨(25)가 첫 공개 '자퇴선언'을 했고 지난달 서울대 사회학과 3학년 유윤종씨(23)에 이어 연세대 신문방송학과 4학년 장혜영씨(24)도 지난 15일 공개 자퇴를 알리는 대자보를 붙이고 학교를 떠났다.
17일 대학가에 따르면 외국에서는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같은 세계적인 경영자들도 대학 1학년 때 명문대를 버리고 자퇴한 뒤에 창의적인 정보기술(IT) 사업 분야에 뛰어들어 성공한 사례가 많았지만 아직 '학벌주의'에 매몰된 한국에선 명문대 자퇴가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들은 진리 추구의 전당이어야 할 '상아탑'이 취업학원, 자격증 취득소, 경쟁식 기업화, 서열화되고 있는 문제점 등과 함께 연간 최고 1000만원대에 달하는 학비를 대기 위해 허덕여야 하는 현실 등을 개탄하는 목소리를 내고 학교를 떠났다.
연세대 자퇴생인 장씨는 졸업을 앞둔 4학년이라는 점에서 이번 공개자퇴가 더 안타깝게 여겨지고 있다. 장씨는 경기 하남시 한국애니메이션고를 졸업하고 2006년 실업계 특별전형으로 연세대에 입학했다. 성적이 우수해 장학금을 받을 정도로 우등생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장씨는 "딱딱한 학벌 폐지론자가 아니라 단지 자유를 더 소중하게 생각해 자퇴를 결심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시 한 줄 읽을 여유가 없는 학우들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장씨는 마지막으로 캠퍼스에 남긴 '공개 이별 선언문'에 'ALL YOU NEED LOVE(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뿐)'라는 문구와 함께 프랑스에서 가져왔다는 낙엽을 붙여 글을 맺었다.
고려대 자퇴생 김씨는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떡없을 것이다"라는 문구를 남기고 학교를 떠났다. 그는 "학비 마련을 위해 고된 노동을 하고 계신 부모님이 눈앞을 가린다. 죄송합니다"라며 부모에 대한 불효를 언급하기도 했다.
청소년 인권보호 운동을 해온 서울대 자퇴생 유씨는 대학 서열화와 입시 위주의 교육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유씨는 대자보에서 "대학 서열화나 입시 문제는 대학 교육에도 악영향이 있으며 등록금 문제도 서열화 및 초과수요 문제와 깊은 인과관계가 있다"면서 "사회에서의 학력·학벌 차별 등에 문제를 제기하고 싶고 저항하고 싶다"고 자퇴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요즘 설문조사 보조, 언론 모니터링, 인권 강연 등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비를 벌고 있다. 유씨는 자신을 비판하는 것을 두고 "자퇴는 문제의식을 던지는 방식이다. 당장은 바뀌지 않아도 이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판이 커지고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rainman@fnnews.com김경수기자
------------------------------
만약 지잡대생이 자퇴(실제로 수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를 한다고 해도 이슈가 될 수 있을까. 왜 명문대생으로 일컬어지는 지는 이들의 자퇴는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가?
아마도 지금 이 순간
이들 대학을 위해서 수많은 목매는 수헙생들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아니면, 어느 정도 사회적인 안정성이 보장되는 이들의 입장에서 자신의기득권을 포기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다만, 확실한 것은 이들과 같은 생각을 하면서도 또한 공감을 하면서도 어쩔수없이 현실에 끌려가는 우리의 젊은 청춘들이 많고 또 이러한 청춘들의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대학의 존재가치는 출세도 돈벌이도 아닌 자유가 되어야 한다.
자신의 삶의 다양한 길을 선택하는 이들이 대학을 선택하고 대학이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자신의 방향을 고뇌하고 삶에 대한 의미있는 가치를 부여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바로 대학이 주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수만가지의 직업군과 연구분야 그리고 도전분야가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현실에서 오로지 안전빵인 직장만을 추구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포기하게 만드는 상황은 개인의 입장에서나 사회의 입장에서도 미래가 없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청춘들이 스스로 원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소극적인 태도는 결국 이 땅을 병들게 할 것이다.
대학이 출세와 생활의 도구이상도 이하도 아닌 현실이
삶의 가치를 더욱 초라하게 만든다.